GA4 가이드: 웹과 앱 분석의 새로운 표준
Google Analytics 4(GA4)의 핵심 기능과 변화를 설명하며, 웹과 앱 분석에서 GA4가 제공하는 유용한 이점을 소개합니다.

서론
Google Analytics 4(GA4)는 구글이 제공하는 최신 웹 및 앱 분석 도구로, 2020년 10월에 출시되었습니다. 기존의 Universal Analytics(UA)와는 많은 차별점을 지니며, 2023년 7월 1일부터 UA는 데이터 수집을 중단하고 GA4가 구글의 기본 분석 도구로 자리잡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GA4의 핵심 기능과 변경된 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며, 각 기능이 디지털 마케팅과 비즈니스 전략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GA4란 무엇인가요?
Google Analytics 4(GA4):
GA4는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비즈니스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GA4는 기존의 분석 방식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데이터 분석을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 사용자 중심의 분석으로의 전환
기존 방식과의 차이점:
이전의 Universal Analytics(UA)는 페이지뷰(pageview)와 세션(session)이라는 두 가지 주요 지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 페이지뷰(Pageview):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열 때마다 기록되는 데이터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제품 페이지'를 열면 하나의 페이지뷰가 기록됩니다.
- 세션(Session):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활동하는 일정한 시간 동안의 묶음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열고 여러 페이지를 탐색하면, 이 모든 활동이 하나의 세션으로 기록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전체 행동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GA4는 ‘이벤트(event)’라는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행동을 세밀하게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이벤트(Event):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특정 행동을 했을 때 기록되는 데이터입니다. 예를 들어, 버튼 클릭, 비디오 시청, 페이지 스크롤 등이 이벤트로 기록됩니다.
UA에서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여러 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각 페이지 방문이 별도의 세션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전체 행동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었습니다. GA4는 사용자의 모든 행동을 하나의 연속된 흐름으로 통합하여 기록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방문하고, 제품 페이지를 살펴보고, 블로그를 읽는 전체 과정이 하나의 사용자 여정으로 분석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어떻게 웹사이트를 이용했는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크로스 플랫폼 데이터 통합
기존 방식과의 차이점:
Universal Analytics(UA)는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의 데이터를 따로 기록했습니다. 사용자들이 여러 기기를 사용할 때, 각 기기에서의 행동이 분리되어 분석되었습니다.
- 크로스 플랫폼(Cross Platform): 여러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톱)에서의 사용자 활동을 통합하여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UA에서는 사용자가 모바일 앱에서 장바구니에 상품을 추가하고, 데스크톱 웹사이트에서 구매를 완료한 경우, 이 데이터가 별도로 기록되었습니다. GA4는 이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연속된 사용자 행동으로 통합하여 분석합니다. 즉, 사용자가 다양한 기기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GA4는 A 웹사이트에서의 행동(예: 제품 페이지 조회, 장바구니 추가 등)과 B 웹사이트에서의 행동(예: 제품 구매, 추가 정보 조회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만약 두 웹사이트가 GA4의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에서 추적되고 있다면, A 웹사이트에서 B 웹사이트로의 이동 경로와 행동을 하나의 사용자 여정으로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와 AI 활용
기존 방식과의 차이점:
GDPR, CCPA와 같은 데이터 프라이버시 규제가 강화되면서, UA에서 사용되던 쿠키(cookie) 기반의 데이터 수집 방식이 제약을 받게 되었습니다. GA4는 이러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쿠키에 덜 의존하는 데이터 수집 방식을 채택하고, AI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활용해 데이터 부족을 보완합니다.
-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유럽 연합(EU)의 일반 개인정보 보호법으로, 사용자 데이터 보호를 강화하는 법규입니다.
- CCPA(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법으로, 사용자 데이터 보호를 강화하는 법규입니다.
- 쿠키(Cookie): 웹사이트 방문 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작은 데이터 파일로, 사용자의 이전 방문 정보를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4. 미래 예측 및 인사이트 도출
기존 방식과의 차이점:
UA에서는 과거의 데이터만을 바탕으로 보고서를 생성했습니다. 그러나 GA4는 머신러닝을 통해 미래의 사용자 행동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GA4는 특정 행동 패턴을 가진 사용자 그룹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이 그룹의 행동을 예측합니다. 이를 통해 마케터는 이탈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 그룹을 발견하고, 맞춤형 캠페인을 통해 이들의 재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지만 구매하지 않는 사용자 그룹을 식별하고, 이들에게 특별 프로모션을 제공하여 구매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5. 더 직관적이고 유연한 인터페이스
기존 방식과의 차이점:
UA에서는 보고서를 생성하려면 여러 단계를 거쳐 복잡한 설정이 필요했습니다. GA4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몇 번의 클릭만으로 쉽게 탐색하고, 실시간으로 성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특정 마케팅 캠페인의 성과를 분석할 때, GA4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여 분석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결론
GA4는 구글의 최신 웹 및 앱 분석 도구로, 데이터 분석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합니다. 사용자 중심의 이벤트 기반 분석, 크로스 플랫폼 데이터 통합, 강화된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AI 활용, 미래 예측 및 인사이트 도출, 그리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는 GA4의 강력한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더 정확하고 전략적인 결정을 내리고, 빠르게 변화하는디지털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GA4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극대화하고, 디지털 마케팅의 성과를 개선해 보세요.